카테고리 없음

saveRDS() readRDS()

23임규민 2023. 12. 6. 13:35

saveRDS() readRDS() 함수는 R에서 데이터를 다룰 때, 초반에 주로 사용되는 함수이며,

 

saveRDS() 함수는 데이터셋을 .rds 형식으로 디렉토리에 저장해주는 역할을 가진다.

readRDS() 함수는 saveRDS() 함수로 저장했던 .rds 파일을 읽어 R의 객체로 다시 불러오는 역할을 가진다.

 

사용 순서 

 

데이터셋 찾기 → saveRDS()  → readRDS()

 

 그저께 간단하게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을 즐겼었는데, 우리 팀 탑과 상대 팀 탑 유저의 실력 차이가 심했던 적이 있었다.

 

나는 이 경험에서 영감을 얻어, 리그 오브 레전드의 탑 챔피언들의 KDA(Kill-Death-Assist)에 관한 간단한 데이터를 만들고 이를 R에서 구현하는 과정을 통해 saveRDS()readRDS()에 대해 설명해보고자 한다. 

data <- data.frame(
+     Champion = c("Malphite", "Aatrox", "Darius"),
+     Kill = c(10, 4, 2),
+     Death = c(3, 9, 10),
+     Assist = c(5, 4, 10)

 

먼저, "Malphite"와 "Aatrox", "Darius"라는 챔피언과 그들의 KDA에 관한 정보를 담은 데이터 프레임을 생성하였다.

 

 saveRDS(data,"ex_data.rds")

 

앞서 만든 데이터 프레임은 R의 객체 중 'data' 에 속하며,  saveRDS() 함수를 통해 이 data를 ex_data.rds라는 이름으로 파일을 저장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ex_data.rds파일이 내 R에 저장된다 ! 

 

 

자, 그러면 이제 readRDS() 함수를 통해 이 데이터 파일을 실행해보자.

 

loaded_data<-readRDS("ex_data.rds")
print(loaded_data)

앞서 저장한 'ex_data.rds' 파일을 readRDS() 함수를 통해 loaded_data라는 변수로 저장하고 실행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데이터 matrix가 생성된다!!!